'외국어'에 해당되는 글 21건

명사의 격

외국어/영어 2020. 4. 15. 21:50

명사의 격에는 주격, 소유격, 목적격이 있지만 주격과 목적격은 형태가 같다. 주격이라는 것은 주어의 자리에 쓰인 명사를 의미하고 목적격은 목적어 자리에 쓰인 명사를 의미한다. 그리고 소유격이란 ' ~의 것 ' 과 같은 소유의 의미가 있는 명사를 말한다. 먼저 소유격을 알아보자.

 

소유격

 

1 ) 관용적으로 소유격 뒤에 house 또는 place of business 가 올 때는 생략하는 경우가 많고 때로는 hospital, cathedral 따위가 생략되기도 한다. 예문을 통해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Soon Philip got into the habit of going to Athelny's every Sunday.
( 곧 필립을 일요일 마다 애들니네 집에 가는 버릇이 붙었다 )

I suppose you'll go down to your uncle's at Blackstable.
( 넌 블랙스터블에 있는 너의 삼촌댁에 갈 것이다 )

"I say," said Mike, "I'm going to the barber's.
( "이봐," 하고 마이크가 말했다." 나는 이발소에 가야겠다" )

He went straight to a tailor's and ordered himself an outfit.
( 그는 곧장 양복점에 가서 양복 한 벌을 맞추었다 )

A collection of prints and paintings by Picasso came under the hammer of Sotheby's yesterday.
( 어제 소드비 경매장에서 피카소의 판화와 그림들이 팔렸다 )

 

2) 미국식 영어에서는 '아무개의 집'이라고 할 때 소유격 대신에 'the + 인명 + house'의 형식도 많이 쓰이며, store, shop의 경우에도 소유격을 쓰지 않는 경우가 있다.

 

The Farrington house was half a mile off.
( 페링턴 여사의 집은 반마일 떨어져 있었다 )

Victor understand that, like VJ, the Hobbs boy was something of a child prodigy.
( VJ와 마찬가지로 홉스의 아들도 신동이라는 것을 빅터는 알고 있었다 )

a butcher's -> a butcher shop 
( 정육점 )

a barber's -> a barber shop 
( 이발소 )

 

*Note* '의사에게 가다', '이발소에 가다'의 경우는 's 없이도 사용된다.

Most people hate going to the dentist.
( 대부분의 사람들은 치과에 가기를 싫어한다 )

 

목적격 

 

명사의 목적격은 동사와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이는 것 외에도 몇 가지 다른 용법이 있다. 이것들을 목적격이라고 부르는 것은 역사적으로 본 것이며, 일반적으로는 명사의 관용적인 어법이라고 생각하는 편이 좋다.

 

- 형용사 역할을 하여 보어로 사용되는 경우 (age, size, color, shape, etc.)

Our house is about the same age as yours.
( 우리 집은 너의 나이와 비슷할 것이다 )

Each apartment was roughly the same size, judging from the outside.
( 각 아파트는 밖에서 볼 때 거의 같은 크기였다 )

What shape is the table, round or square ?
( 그 테이블은 어떻게 생겼느냐, 원형이냐, 아니면 사각형이냐 ? )

It's no good crying over split milk and it would make things worse if I made a fuss.
( 이미 엎질러진 물인데 야단법석을 떨어봐야 사태가 더 악화될 것이다 )

We were practically the same height, but he weighed about twice as much as I did.
( 우리는 실제로 키는 같았으나, 그의 체중은 나의 두 배나 되었다 )

 

- 직접 명사를 수식하는 경우

Tashi works harder than most girls her age.
( 타시는 제 나이 또래의 대부분의 소녀들 보다 더 열심히 공부한다 )

He was wearing a cottn sweater the color of his eyes.
( 그는 그의 눈동자와 같은 색깔의 스웨터를 입고 있었다 )

 

부사적 목적격

이것은 대체로 전치사가 생략된 부사구로 볼 수 있으며, 명사의 부사적 용법으로 보아도 무방하다.

 

- 형용사나 부사를 수식하는 경우 ( 피수식어의 앞에 와서 <정도>를 나타낸다 )

 

Robert was five years younger than him.
( 로버트는 그보다 다섯 살 아래였다 )

The canvas measures about 4 meters long and 3 meters wide.
( 그 캔버스는 길가 약 4미터, 너비가 3미터이다 )

Kitty stood a head taller than Dr. Lieberman.
( 키티는 선 키가 리버만 박사보다 머리 하나만큼 더 컸다 )

The rent was three weeks overdue, and the landlord threatened them with eviction.
( 방세가 3주 동안 밀렸을 때 집 주인은 그들에게 방을 미워달라고 겁을 주었다 )

The wheel ruts and ridges were iron hard with frost.
( 서리가 내려서 바퀴자국과 밭이랑은 쇠처럼 단단했다 )

 

- 동사를 수식하는 경우

 

방향, 방법, 시간, 기간, 장소, 거리, 정도 따위를 나타내는 표현에서 많이 볼 수 있다.

 

1. 방향, 방법

What are you looking at me that way for?
( 왜 나를 그런식으로 보고 있습니까? )

Let me put it a different way, Mr.Sanders.
( 샌더즈 씨, 그것을 다른 말로 표현해보겠습니다 )

 

현대 영어에서는 아래처럼 ~ style / fashion 형식이 많이 쓰인다.

He wore his gun at the hip, cowboy-style.
( 그는 카우보이처럼 총을 엉덩이에 차고 있었다 )

Eastern European communist governments toppled domino fashion.
( 동유럽의 공산정권들은 도미노 식으로 줄줄이 쓰러졌다 )

 

2. 시간, 기간

Apllo 13 was launched on schedule, at 13:13 Houston time on April 11.
( 아폴로 13호는 휴스턴 현지시간으로 4월 11일 13시 13분에 예정대로 발사되었다 )

He said he was going to write them Monday.
( 그는 월요일에 그들에게 편지를 쓰겠다고 말했다 )

Mornings, standing at the store window, he watched Helen go off to work.
( 매일 아침 그는 가게의 창문가에 서서 헬렌이 출근하는 모습을 지켜보았다 )

Monday nights he had the house to himself.
( 매주 월요일 밤에는 그 집을 혼자 지켰다 )

 

3, 장소, 거리, 정도 

I heard that some places they dug up graves to look for jewelry.
( 내가 들은 바로는 어떤 곳에서는 그들이 보석을 찾으려고 무덤을 파헤치고 있다고 해 )

There's not a single snake the length and breadth of Ireland.
( 아일랜드의 어디를 가나 뱀은 찾을 수 없을 겁니다 )

 

+ 미국식 영어에서 많이 쓰는 표현에 <a (...) ways>가 있다. 여기서 ways = distance이지만, 정도를 나타내는 데도 쓰인다. 영국식 영어에서 a long way off (멀리 떨어진 곳에) 라고 할 것을 미국식 영어의 구어에서는 a long ways 라고 한다.

Can I walk a ways with you ?
( 조금 같이 가도 될까요? )

We lived on farm a good ways from town.
( 우리는 읍내에서 멀리 떨어진 농장에서 살았다 )

 

심성여격

심성여격이란 상대방의 주의를 끌기 위하여 삽입하는 여격( 명사나 대명사가 간접 목적어일 때의 격)으로, 현대 표준영어에서는 쓰이지 않지만 미국영어, 특히 흑인들의 회화에 많이 사용된다.

I got me a parole to Keep. Can't leave the state.
( 나는 가출옥을 지켜야 됩니다. 이 주에서 떠날 수 없습니다 )

I'm going to buy me a new automobile !
( 나는 새 자동차를 하나 살거야 ! )

A man with a heavy build have got to be careful of what he put on him so he dose not look too clumsy.
( 체격이 좋은 남자는 너무 어색하게 보이지 않도록 목에 걸치는 옷을 신경 써야 한다 )

We've got us a lonely car, you know.
( 우리 집에만 차가 있어 ) 

 

동격

어떤 명사(상당어구)를 다른 명사(상당어구)와 나란히 두고 하나가 다른 것을 설명하거나 부연할 때 그 두 명사는 서로 동격관계에 있다고 말한다.

 

1. 명사와 명사

 

- Comma가 있는 경우

George Wahington,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 미합중국 대통령 조지 워싱턴 )

In 1942 Humphrey Bogart joined together with Ingrid Bergman to make one of the greatest moives of all time, Casablanca.
( 1942년 험프리 보가트는 잉그릿 버그먼과 공연하여 가장 위대한 영와의 하나인 <카사블랑카>를 만들었다 )

 

- Comma가 없는 경우

After all it is with the common run of men that we writers have to deal.
( 결국 우리 작가들이 다루어야 할 사람은 평범한 인간들이다 )

 

2. 명사와 명사절 -> 동격절

 

동격절이란 명사 뒤에 와서 그 명사의 내용을 동격적으로 설명하는 명사절을 말하며, 동격절을 이끄는 접속사는 원칙적으로 that 이다. 

The assertion that people learn nothing from studying history is completely untrue.
( 역사를 연구해서 아무것도 배울 것이 없다는 주장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 )

There's always a chance that something may go wrong.
( 일이 잘못될 가능성은 항상 존재한다 )

 

3. 동격의 of

 

이 of는 의미상 '~라는'  , '~와 같은'의 두 가지 용법이 있다

 

- ~ 라는

 

The island of Manhattan was bought from the native Indians for a paltry sum.
( 맨해튼 섬은 원주민 인디안으로부터 얼마 안 되는 돈을 주고 산 것이다 )

 

- ~ 와 같은

Korea is a gem of a country inhabited by a noble people.
( 한국은 고상한 국민들이 살고 있는 보석 같은 나라이다 )

 

4. This/ that + (고유)명사 + 보통명사

 

이 형식은 < 고유명사(특히 인명) + 보통명사 > 형이 많지만, < 보통명사 + 보통명사 > 형도 쓰인다. 앞에 오는 this/ that 은 친밀감이나 경멸 또는 혐오감 따위의 감정을 암시할 때가 많다.

 

Would you like me to speak with them about not discussing this UFO business with anyone ?
( 그들에게 이 UFO 건에 대해서 누구하고도 이야기 하지 말라고 할까요 ? )

Did you talk to this Kaminsky person?
( 이 카민스키란 사람에게 말을 걸어 봤어요 ? )

When that photographer fellow took pictures of all of us in front of that UFO, she was standing right next to me.
( 그 사진사 친구가 미확인 비행물체 앞에서 우리들의 사진을 찍을 때 그 여자는 내 바로 옆에 서 있었어 )

 

'외국어 > 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명사(Pronoun) - 인칭대명사  (0) 2020.04.16
명사의 형용사적 용법  (0) 2020.04.16
명사를 받는 대명사의 성  (0) 2020.04.15
명사와 수  (0) 2020.04.15
명사의 종류(Noun)  (0) 2020.04.15
블로그 이미지

unpractical human

수없이 거듭되는 실패를 양분 삼아 한 걸음씩 나아가자

,

영어에서 명사는 대부분 자연의 성을 따라서 he, she, it 으로 받으면 되지만, 자연의 성과 문법의 성이 일치하지 않는 명사들도 있다.

 

- 나라 이름은 <국가, 국민>을 의미할 때는 여성으로 받고, 지리적인 <국토>를 의미할 경우는 중성으로 받는다고 하나, 이 둘의 구별이 분명치 않은 경우도 있다.

Many Westerners with experience and knowledge of Japn had held it would be impossible for her to surrender.
( 일본에 대한 경험과 지식을 가진 많은 서양 사람들은 일본이 (2차 대전에서) 항복할 리가 없다고 생각했었다 )

 

- The earth of Mother Earth, The nature or Mother Nature은, 여성으로 받는 경우가 많다. <대지>나 <자연>은 모든 생물을 낳고 기르는 여성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Nature was resting, holding her breath, as it were, before the great effort of birth.
( 자연은 탄생의 진통을 목전에 두고 숨을 죽이며 쉬고 있었다 )

Nature never did betray the heart that loved her.
( 자연은 자연을 사랑하는 사람의 마음을 결코 배식한 적이 없었다 )

 

- Ship, boat 는 여성으로 받는 일이 많고, 때로는 자동차도 흔히 여성으로 받으며, 대체로 자신이 아끼고 사랑하는 물건은 여성으로 받는 경향이 있다.

The ancient motors of the Exodus groaned as she slid back into the center of Kyrenia Harbor.
( 엑소더스호가 카이레니아 항으로 되돌아갈 때 배의 낡은 엔진은 신음소리를 냈다 )

 

- Baby와 child 는 성별이 분명치 않거나, 문제가 되지 않을 때는 it으로 받고, 성별을 알고 있을 때는 he 또는 she로 받지만, 요즘은 성차별을 없애기 위해서 he or she로 받는 일이 많다. 긔고, 개, 고양이 등의 동물은 보통 중성으로 받지만, 의인화하여 he 또는 she로 받기도 한다.

A child's intelligence comes partly from its parents and partly from its environment.
( 자녀의 지능은 일부는 부모로부터 받고 일부는 환경에서 온다 )

The nurse weighed the baby, then handed him to his mother.
( 간호사는 아기의 체중은 달아보고 나서 그 어머니에게 아기를 돌려주었다 )

'외국어 > 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사의 형용사적 용법  (0) 2020.04.16
명사의 격  (0) 2020.04.15
명사와 수  (0) 2020.04.15
명사의 종류(Noun)  (0) 2020.04.15
영어공부를 하게 된 계기  (0) 2020.04.14
블로그 이미지

unpractical human

수없이 거듭되는 실패를 양분 삼아 한 걸음씩 나아가자

,

명사와 수

외국어/영어 2020. 4. 15. 17:49

복수 명사의 특징

- 숫자나 문자의 복수형은 's (apostrophe s) 를 붙인다.

He got straight A's in all his classics courses. 
( 그는 고전과목에서 모두 A학점을 받았다 )

 

- 의미상 복수의 주어 뒤에는 복수의 동사, 복수의 보어가 오는 것이 원칙이지만, 단수형의 보어가 오는 일이 있다. 한 개의 집합체로 보기 때문이다.

We are by nature a most informal people.
( 우리는 본래 결코 격식을 차리지 않는 국민이다 )

 

- There be A and B (and C ... )의 형식에서 A가 단수이면 동사는 가까이 있는 말에 끌려서 단수 동사로 받는 일이 있다.

 There was steak and fried potatoes and coffee.
( 스테이크, 감자 프라이 그리고 커피가 있었다 )

On Monday mornings there was French, English, and then a double period of maths.
( 월요일 오전에는 불어, 영어, 그리고 두 시간짜리 수학 수업이 있었다 )

 

- 기간, 금액, 거리 따위를 나타내는 말의 복수형이 주어일 때 그것을 받는 be 동사는 단수형을 사용한다. 전체를 한 단위로 보기 때문이다.

The 1950s was the Western's greatest decade.
( 1950년대는 서부영화의 최고의 전성기였다 )

$ 1,000 is chicken-feed compared to what we need.
( 천 달러는 우리가 필요한 금액에 비하면 쥐꼬리만한 액수이다 )

Twenty miles though a jungle is a very long trip.
( 밀림 속에서의 20마일은 굉장히 먼 거리이다 )

 

Note : 시간의 경과를 나타낼 때는 years, months, days, hours 등은 복수취급한다. 

'외국어 > 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사의 형용사적 용법  (0) 2020.04.16
명사의 격  (0) 2020.04.15
명사를 받는 대명사의 성  (0) 2020.04.15
명사의 종류(Noun)  (0) 2020.04.15
영어공부를 하게 된 계기  (0) 2020.04.14
블로그 이미지

unpractical human

수없이 거듭되는 실패를 양분 삼아 한 걸음씩 나아가자

,

명사란 ?

물건, 장소, 추상적인 개념 등 '세상에 존재하는 것들에 대한 이름표' 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명사는 기준에 따라 나누어 구분되어 있다.

 

명사의 구분

흔히 명사는 아래와 같이 5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 중에서 보통명사와 집합명사는 셀 수 있는 명사 나머지 셋은 셀 수 없는 명사로 나누기도 한다. 

 

- 셀 수 있는 명사(Countable noun) 셀 수 없는 명사(Uncountable noun)
- 보통명사, 집합명사 고유명사, 물질명사, 추상명사 

 

그러나 Uncountable 명사도 Countable 명사로 쓰이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는 의미가 조금 달라진다. 

 

보통명사의 용법

보통명사란 같은 종류의 사람이나 사물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이름을 나타내는 말이므로 당연히 부정관사는 물론 정관사도 붙을 수 있다. 그러나 <the + 보통명사>가 추상적인 성질을 나타내는 일이 있다. 따라서 모든 보통 명사는 동시에 추상명사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새의 부리모양이나 크기가 우리가 알고 있는 보편적인 부리모양이나 크기가 다르다고 해도 우리는 그것을 '새'라고 인식한다. 고정된 유형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차원에서 보통명사는 그 명사가 가지는 추상적 개념(특징, 기질 등) 또한 가질 수 있을 것이다. 

 

When a man is reduced to proverty, the beggar will come out. 
( 가난에 처하면, 거지근성이 나온다 )

In those three years I must have winessed pretty well every emotion of which man is capable. It excited the novelist in me. 
( 3년 동안 나는 인간의 모든 감정을 느꼈음에 틀림없다. 그것은 내 안의 소설가 기질을 자극했다 )

Jim is very good at mathematics but his interestes include the theater, American literature and cricket.
( 짐은 수학을 잘하지만, 그는 연극, 미국문학 그리고 크리켓에도 관심이 많다 )

 

추상명사의 용법

추사명사는 주로 추상적인 개념을 나타내는 것이다. '희망', '삶', '민주주의' 등이 있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보통명사는 추상명사의 성질을 나타낼 수 있는데 추상명사 중에서도 보통명사로 쓰이는 것들이 많다.

 

추상명사 보통명사
arrival 도착 an arrival 도착한 사람 (자동차 등)
beauty 아름다움 a beauty 미인
commitment 헌신, 개입 a commintment 약속, 공약
departure 출발 a convenience 편의품
embarrassment 당황 an embrrassment 골칫덩이
failure 실패 a failure 실패한 사람(사례)
luxury 사치 a luxury 사치품, 명품 =(luxury goods)
mind 정신, 마음 a mind (특정한 분야에 탁월한) 인물
replacement 대체 a replacement 대체물, 후임자
necessity 필요 a necessity 필수품

 

I parked where I had a good view of arrivals and departures. 
( 나는 도착하거나 출발하는 차들이 잘 보이는 장소에 주차했다 )

As a new arrival in China, Marie was obviously having problems with the language.
( 최근에 중국에 도착했기 때문에 마리에게는 분명히 언어적인 문제가 있었다 )

I have just made a previous commitment.
( 방금 선약을 잡았습니다 )

 

 

추상명사가 집합명사로 쓰이는 경우도 있다.

The top management at McDonald's may be just as smart as the top management at Apple.
( 맥도날드 회사의 최고 경영진은 애플사의 최고경영진 만큼 똑똑할지도 모른다 )

if we're going to survive, it's absolutely essential that labor and management figure out a new and more practical method of working together.
( 우리 회사가 살아남으려면 근로자와 경영진이 함께 일할 수 있는 새롭고 보다 실용적인 방법을 찾아내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

I've been asked to give a presentation to the senior management, to explain the new employment legislation.
( 나는 발표회를 개최하여 최고 경영진에게 새 고용법을 설명해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

 

집합명사의 용법

집합명사는 사물의 집합체를 나타내는 명사이다. '가족(family)', '사람(people)' 등이 있다. 집합명사 또한 보통명사처럼 쓰이는 일이 있다.

예를 들어, People은 집합명사지만 아래와 같이 <민족, 국민>을 의미할 때는 보통명사가 되어 정관사는 물론 부정관사가 붙기도 하고 복수형도 가능하다. 

보통명사(Countable Noun)로 취급 될 때도 있다. 

 

The English are a conservative people.
( 영국인은 보수적인 국민이다 )

Singapore is the meeting place of a hundred peoples.
( 싱가포르는 수많은 민족이 만나는 곳이다.

We're a law-abiding people and a slow-to-anger people.
( 우리는 법을 잘 지키고 화를 잘 내지 않는 국민이다 )

 

물질명사의 용법

물질명사는 일정한 형태가 없는 물질을 나타내는 명사로, '공기', '돈' 등이 있다. 물질명사의 경우 보통명사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

 

< a/an + 음료 또는 술 > 은 한 잔, 한 컵, 한 캔, 한 병 따위의 뜻을 나타내기도 하고 종류를 가리키기도 하며, 복수형으로 쓰이기도 한다.

 

"Here you go," Grant said, thrusting a beer into his hand.
( "한 잔 해요," 그의 손에 맥주 한 캔을 집어주며 그랜트가 말했다.

I usually have a Coke with my sandwich.
( 코카콜라 한 잔 또는 한 병 )

"Can I offer you a drink ?" "I'll have a gin and tonic please." 
( "술 한 잔 드릴까요?" "진토닉 한 잔 부탁드립니다." )

 

고유명사의 용법

고유명사는 사람, 사물, 지명 등에 붙은 고유한 명칭을 의미한다. 

 

인명의 경우, 같은 이름이 둘 이상 있을 때는 보통명사와 같이 취급하여 부정관사와 붙일 수 있고, 복수형도 가능하다. ( ~라는 사람 / ~집안 사람 )

 

"You have a Harper here?" he asked. "We have two Harpers. Which one do you want?"
( "여기에 하퍼라는 사람이 있습니까?" 하고 그가 물었다. "하퍼라는 사람이 둘이 있어요. 어떤 하퍼를 찾으십니까?" )

He suspects that the jury will clear her because she is a Kennedy. ( 그는 그녀가 케네디 집안 사람이므로 배심원들이 무죄 평결을 내릴 것라고 생각한다 ) 

 

< a(n) + 잘 알려진 사람 >은 < ~ 집안 사람/ ~와 같은 사람/ ~의 작품 >을 의미한다. 인명 이외의 고유명사도 쓰이며, 복수형도 상용된다.

 

The Montesquieus, Mills, and Madisons invented most of the political forms we still take for granted.
( 몽테스키외, 밀, 메디슨 같은 사람들이 오늘날 우리가 당연시하는 정치형태의 대부분을 만들어냈다 )

I bought a Bronte there for my wife, Chrismas two years ago. 
( 나는 2년 전 거기서 아내의 크리스마스 선물로 브론테 작품 한 권을 샀다 )

I get goose bumps when Mozart is playing. It's because his music is so romantic and surreal.
( 모차르트의 음악을 들으면 소름이 돋는다. 로맨틱하고 환상적이기 때문이다 )

 

간단하게 명사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간단한 것 같으면서도 자세히 들어가면 꽤 어려운 품사이다. 특히 정관사나 부정관사가 붙을 때, 소유격들이 붙을 때 등 의미가 달라지는 경우들이 있기 때문에 개념을 잘 잡아야 작문할 때 오류없는 문장을 만들 수 있고 명확한 해석이 가능하다. 

'외국어 > 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사의 형용사적 용법  (0) 2020.04.16
명사의 격  (0) 2020.04.15
명사를 받는 대명사의 성  (0) 2020.04.15
명사와 수  (0) 2020.04.15
영어공부를 하게 된 계기  (0) 2020.04.14
블로그 이미지

unpractical human

수없이 거듭되는 실패를 양분 삼아 한 걸음씩 나아가자

,

내가 언어학습에 대한 흥미를 가지게 된 것은 중국에 교환학생으로 갔었을 때부터인데, 현지의 말을 배우고 그것을 통해 현지 사람들과 어울리는 과정이 참 즐겁고 재미있었다. 재미가 있으니 자연스럽게 학습동기가 형성되었고 언어소통이 어느 정도 원활해지면서부터 활동 반경이 넓어지고 그 나라의 언어로 쓰인 정보를 받아들일 수 있게 됐다. 그리고 이런 작은 경험들이 영어공부에 대한 촉진제 역할을 했다.

 

당시 영어공부를 시작할 때만 해도 제대로 된 문장 하나 내뱉는 것조차 어려움이 있었다. 시제와 동사의 태에 대한 개념도 없었으니 단어를 알아도 문장단위로 만들 수도 없었다. 문장 통째로 외운다고 해도 영어가 귀에 익지 않은 상태였으니 상대방의 말을 알아들을 수 없었다. 말도 못 하고 듣지도 못하는 최악의 상태라고 말할 수 있겠다. 

 

하지만 중국어를 배울 때도 걸음마 단계부터 시작했으니 영어도 하면 되겠다 싶어 한국에서 한 달간 영어학원을 다니다가 바로 호주로 워킹홀리데이를 갔다. 호주에 그리 오래 있지도 않았고 내가 목표했던 언어 구사능력에는 한참 못 미치는 실력으로 한국으로 귀국하게 됐으나, 성과가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니다. 그 후 영어에 대한 두려움은 사라졌고 이제는 어느 정도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단계라고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완전하지 않기에 더 알고싶고, 앞으로 영어로 할 수 있는 많은 것들을 시도해보고 싶다. 

'외국어 > 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사의 형용사적 용법  (0) 2020.04.16
명사의 격  (0) 2020.04.15
명사를 받는 대명사의 성  (0) 2020.04.15
명사와 수  (0) 2020.04.15
명사의 종류(Noun)  (0) 2020.04.15
블로그 이미지

unpractical human

수없이 거듭되는 실패를 양분 삼아 한 걸음씩 나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