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사의 격에는 주격, 소유격, 목적격이 있지만 주격과 목적격은 형태가 같다. 주격이라는 것은 주어의 자리에 쓰인 명사를 의미하고 목적격은 목적어 자리에 쓰인 명사를 의미한다. 그리고 소유격이란 ' ~의 것 ' 과 같은 소유의 의미가 있는 명사를 말한다. 먼저 소유격을 알아보자.
소유격
1 ) 관용적으로 소유격 뒤에 house 또는 place of business 가 올 때는 생략하는 경우가 많고 때로는 hospital, cathedral 따위가 생략되기도 한다. 예문을 통해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Soon Philip got into the habit of going to Athelny's every Sunday.
( 곧 필립을 일요일 마다 애들니네 집에 가는 버릇이 붙었다 )
I suppose you'll go down to your uncle's at Blackstable.
( 넌 블랙스터블에 있는 너의 삼촌댁에 갈 것이다 )
"I say," said Mike, "I'm going to the barber's.
( "이봐," 하고 마이크가 말했다." 나는 이발소에 가야겠다" )
He went straight to a tailor's and ordered himself an outfit.
( 그는 곧장 양복점에 가서 양복 한 벌을 맞추었다 )
A collection of prints and paintings by Picasso came under the hammer of Sotheby's yesterday.
( 어제 소드비 경매장에서 피카소의 판화와 그림들이 팔렸다 )
2) 미국식 영어에서는 '아무개의 집'이라고 할 때 소유격 대신에 'the + 인명 + house'의 형식도 많이 쓰이며, store, shop의 경우에도 소유격을 쓰지 않는 경우가 있다.
The Farrington house was half a mile off.
( 페링턴 여사의 집은 반마일 떨어져 있었다 )
Victor understand that, like VJ, the Hobbs boy was something of a child prodigy.
( VJ와 마찬가지로 홉스의 아들도 신동이라는 것을 빅터는 알고 있었다 )
a butcher's -> a butcher shop
( 정육점 )
a barber's -> a barber shop
( 이발소 )
*Note* '의사에게 가다', '이발소에 가다'의 경우는 's 없이도 사용된다.
Most people hate going to the dentist.
( 대부분의 사람들은 치과에 가기를 싫어한다 )
목적격
명사의 목적격은 동사와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이는 것 외에도 몇 가지 다른 용법이 있다. 이것들을 목적격이라고 부르는 것은 역사적으로 본 것이며, 일반적으로는 명사의 관용적인 어법이라고 생각하는 편이 좋다.
- 형용사 역할을 하여 보어로 사용되는 경우 (age, size, color, shape, etc.)
Our house is about the same age as yours.
( 우리 집은 너의 나이와 비슷할 것이다 )
Each apartment was roughly the same size, judging from the outside.
( 각 아파트는 밖에서 볼 때 거의 같은 크기였다 )
What shape is the table, round or square ?
( 그 테이블은 어떻게 생겼느냐, 원형이냐, 아니면 사각형이냐 ? )
It's no good crying over split milk and it would make things worse if I made a fuss.
( 이미 엎질러진 물인데 야단법석을 떨어봐야 사태가 더 악화될 것이다 )
We were practically the same height, but he weighed about twice as much as I did.
( 우리는 실제로 키는 같았으나, 그의 체중은 나의 두 배나 되었다 )
- 직접 명사를 수식하는 경우
Tashi works harder than most girls her age.
( 타시는 제 나이 또래의 대부분의 소녀들 보다 더 열심히 공부한다 )
He was wearing a cottn sweater the color of his eyes.
( 그는 그의 눈동자와 같은 색깔의 스웨터를 입고 있었다 )
부사적 목적격
이것은 대체로 전치사가 생략된 부사구로 볼 수 있으며, 명사의 부사적 용법으로 보아도 무방하다.
- 형용사나 부사를 수식하는 경우 ( 피수식어의 앞에 와서 <정도>를 나타낸다 )
Robert was five years younger than him.
( 로버트는 그보다 다섯 살 아래였다 )
The canvas measures about 4 meters long and 3 meters wide.
( 그 캔버스는 길가 약 4미터, 너비가 3미터이다 )
Kitty stood a head taller than Dr. Lieberman.
( 키티는 선 키가 리버만 박사보다 머리 하나만큼 더 컸다 )
The rent was three weeks overdue, and the landlord threatened them with eviction.
( 방세가 3주 동안 밀렸을 때 집 주인은 그들에게 방을 미워달라고 겁을 주었다 )
The wheel ruts and ridges were iron hard with frost.
( 서리가 내려서 바퀴자국과 밭이랑은 쇠처럼 단단했다 )
- 동사를 수식하는 경우
방향, 방법, 시간, 기간, 장소, 거리, 정도 따위를 나타내는 표현에서 많이 볼 수 있다.
1. 방향, 방법
What are you looking at me that way for?
( 왜 나를 그런식으로 보고 있습니까? )
Let me put it a different way, Mr.Sanders.
( 샌더즈 씨, 그것을 다른 말로 표현해보겠습니다 )
현대 영어에서는 아래처럼 ~ style / fashion 형식이 많이 쓰인다.
He wore his gun at the hip, cowboy-style.
( 그는 카우보이처럼 총을 엉덩이에 차고 있었다 )
Eastern European communist governments toppled domino fashion.
( 동유럽의 공산정권들은 도미노 식으로 줄줄이 쓰러졌다 )
2. 시간, 기간
Apllo 13 was launched on schedule, at 13:13 Houston time on April 11.
( 아폴로 13호는 휴스턴 현지시간으로 4월 11일 13시 13분에 예정대로 발사되었다 )
He said he was going to write them Monday.
( 그는 월요일에 그들에게 편지를 쓰겠다고 말했다 )
Mornings, standing at the store window, he watched Helen go off to work.
( 매일 아침 그는 가게의 창문가에 서서 헬렌이 출근하는 모습을 지켜보았다 )
Monday nights he had the house to himself.
( 매주 월요일 밤에는 그 집을 혼자 지켰다 )
3, 장소, 거리, 정도
I heard that some places they dug up graves to look for jewelry.
( 내가 들은 바로는 어떤 곳에서는 그들이 보석을 찾으려고 무덤을 파헤치고 있다고 해 )
There's not a single snake the length and breadth of Ireland.
( 아일랜드의 어디를 가나 뱀은 찾을 수 없을 겁니다 )
+ 미국식 영어에서 많이 쓰는 표현에 <a (...) ways>가 있다. 여기서 ways = distance이지만, 정도를 나타내는 데도 쓰인다. 영국식 영어에서 a long way off (멀리 떨어진 곳에) 라고 할 것을 미국식 영어의 구어에서는 a long ways 라고 한다.
Can I walk a ways with you ?
( 조금 같이 가도 될까요? )
We lived on farm a good ways from town.
( 우리는 읍내에서 멀리 떨어진 농장에서 살았다 )
심성여격
심성여격이란 상대방의 주의를 끌기 위하여 삽입하는 여격( 명사나 대명사가 간접 목적어일 때의 격)으로, 현대 표준영어에서는 쓰이지 않지만 미국영어, 특히 흑인들의 회화에 많이 사용된다.
I got me a parole to Keep. Can't leave the state.
( 나는 가출옥을 지켜야 됩니다. 이 주에서 떠날 수 없습니다 )
I'm going to buy me a new automobile !
( 나는 새 자동차를 하나 살거야 ! )
A man with a heavy build have got to be careful of what he put on him so he dose not look too clumsy.
( 체격이 좋은 남자는 너무 어색하게 보이지 않도록 목에 걸치는 옷을 신경 써야 한다 )
We've got us a lonely car, you know.
( 우리 집에만 차가 있어 )
동격
어떤 명사(상당어구)를 다른 명사(상당어구)와 나란히 두고 하나가 다른 것을 설명하거나 부연할 때 그 두 명사는 서로 동격관계에 있다고 말한다.
1. 명사와 명사
- Comma가 있는 경우
George Wahington,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 미합중국 대통령 조지 워싱턴 )
In 1942 Humphrey Bogart joined together with Ingrid Bergman to make one of the greatest moives of all time, Casablanca.
( 1942년 험프리 보가트는 잉그릿 버그먼과 공연하여 가장 위대한 영와의 하나인 <카사블랑카>를 만들었다 )
- Comma가 없는 경우
After all it is with the common run of men that we writers have to deal.
( 결국 우리 작가들이 다루어야 할 사람은 평범한 인간들이다 )
2. 명사와 명사절 -> 동격절
동격절이란 명사 뒤에 와서 그 명사의 내용을 동격적으로 설명하는 명사절을 말하며, 동격절을 이끄는 접속사는 원칙적으로 that 이다.
The assertion that people learn nothing from studying history is completely untrue.
( 역사를 연구해서 아무것도 배울 것이 없다는 주장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 )
There's always a chance that something may go wrong.
( 일이 잘못될 가능성은 항상 존재한다 )
3. 동격의 of
이 of는 의미상 '~라는' , '~와 같은'의 두 가지 용법이 있다
- ~ 라는
The island of Manhattan was bought from the native Indians for a paltry sum.
( 맨해튼 섬은 원주민 인디안으로부터 얼마 안 되는 돈을 주고 산 것이다 )
- ~ 와 같은
Korea is a gem of a country inhabited by a noble people.
( 한국은 고상한 국민들이 살고 있는 보석 같은 나라이다 )
4. This/ that + (고유)명사 + 보통명사
이 형식은 < 고유명사(특히 인명) + 보통명사 > 형이 많지만, < 보통명사 + 보통명사 > 형도 쓰인다. 앞에 오는 this/ that 은 친밀감이나 경멸 또는 혐오감 따위의 감정을 암시할 때가 많다.
Would you like me to speak with them about not discussing this UFO business with anyone ?
( 그들에게 이 UFO 건에 대해서 누구하고도 이야기 하지 말라고 할까요 ? )
Did you talk to this Kaminsky person?
( 이 카민스키란 사람에게 말을 걸어 봤어요 ? )
When that photographer fellow took pictures of all of us in front of that UFO, she was standing right next to me.
( 그 사진사 친구가 미확인 비행물체 앞에서 우리들의 사진을 찍을 때 그 여자는 내 바로 옆에 서 있었어 )
'외국어 > 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명사(Pronoun) - 인칭대명사 (0) | 2020.04.16 |
---|---|
명사의 형용사적 용법 (0) | 2020.04.16 |
명사를 받는 대명사의 성 (0) | 2020.04.15 |
명사와 수 (0) | 2020.04.15 |
명사의 종류(Noun) (0) | 2020.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