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사란 ?

물건, 장소, 추상적인 개념 등 '세상에 존재하는 것들에 대한 이름표' 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명사는 기준에 따라 나누어 구분되어 있다.

 

명사의 구분

흔히 명사는 아래와 같이 5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 중에서 보통명사와 집합명사는 셀 수 있는 명사 나머지 셋은 셀 수 없는 명사로 나누기도 한다. 

 

- 셀 수 있는 명사(Countable noun) 셀 수 없는 명사(Uncountable noun)
- 보통명사, 집합명사 고유명사, 물질명사, 추상명사 

 

그러나 Uncountable 명사도 Countable 명사로 쓰이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는 의미가 조금 달라진다. 

 

보통명사의 용법

보통명사란 같은 종류의 사람이나 사물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이름을 나타내는 말이므로 당연히 부정관사는 물론 정관사도 붙을 수 있다. 그러나 <the + 보통명사>가 추상적인 성질을 나타내는 일이 있다. 따라서 모든 보통 명사는 동시에 추상명사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새의 부리모양이나 크기가 우리가 알고 있는 보편적인 부리모양이나 크기가 다르다고 해도 우리는 그것을 '새'라고 인식한다. 고정된 유형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차원에서 보통명사는 그 명사가 가지는 추상적 개념(특징, 기질 등) 또한 가질 수 있을 것이다. 

 

When a man is reduced to proverty, the beggar will come out. 
( 가난에 처하면, 거지근성이 나온다 )

In those three years I must have winessed pretty well every emotion of which man is capable. It excited the novelist in me. 
( 3년 동안 나는 인간의 모든 감정을 느꼈음에 틀림없다. 그것은 내 안의 소설가 기질을 자극했다 )

Jim is very good at mathematics but his interestes include the theater, American literature and cricket.
( 짐은 수학을 잘하지만, 그는 연극, 미국문학 그리고 크리켓에도 관심이 많다 )

 

추상명사의 용법

추사명사는 주로 추상적인 개념을 나타내는 것이다. '희망', '삶', '민주주의' 등이 있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보통명사는 추상명사의 성질을 나타낼 수 있는데 추상명사 중에서도 보통명사로 쓰이는 것들이 많다.

 

추상명사 보통명사
arrival 도착 an arrival 도착한 사람 (자동차 등)
beauty 아름다움 a beauty 미인
commitment 헌신, 개입 a commintment 약속, 공약
departure 출발 a convenience 편의품
embarrassment 당황 an embrrassment 골칫덩이
failure 실패 a failure 실패한 사람(사례)
luxury 사치 a luxury 사치품, 명품 =(luxury goods)
mind 정신, 마음 a mind (특정한 분야에 탁월한) 인물
replacement 대체 a replacement 대체물, 후임자
necessity 필요 a necessity 필수품

 

I parked where I had a good view of arrivals and departures. 
( 나는 도착하거나 출발하는 차들이 잘 보이는 장소에 주차했다 )

As a new arrival in China, Marie was obviously having problems with the language.
( 최근에 중국에 도착했기 때문에 마리에게는 분명히 언어적인 문제가 있었다 )

I have just made a previous commitment.
( 방금 선약을 잡았습니다 )

 

 

추상명사가 집합명사로 쓰이는 경우도 있다.

The top management at McDonald's may be just as smart as the top management at Apple.
( 맥도날드 회사의 최고 경영진은 애플사의 최고경영진 만큼 똑똑할지도 모른다 )

if we're going to survive, it's absolutely essential that labor and management figure out a new and more practical method of working together.
( 우리 회사가 살아남으려면 근로자와 경영진이 함께 일할 수 있는 새롭고 보다 실용적인 방법을 찾아내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

I've been asked to give a presentation to the senior management, to explain the new employment legislation.
( 나는 발표회를 개최하여 최고 경영진에게 새 고용법을 설명해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

 

집합명사의 용법

집합명사는 사물의 집합체를 나타내는 명사이다. '가족(family)', '사람(people)' 등이 있다. 집합명사 또한 보통명사처럼 쓰이는 일이 있다.

예를 들어, People은 집합명사지만 아래와 같이 <민족, 국민>을 의미할 때는 보통명사가 되어 정관사는 물론 부정관사가 붙기도 하고 복수형도 가능하다. 

보통명사(Countable Noun)로 취급 될 때도 있다. 

 

The English are a conservative people.
( 영국인은 보수적인 국민이다 )

Singapore is the meeting place of a hundred peoples.
( 싱가포르는 수많은 민족이 만나는 곳이다.

We're a law-abiding people and a slow-to-anger people.
( 우리는 법을 잘 지키고 화를 잘 내지 않는 국민이다 )

 

물질명사의 용법

물질명사는 일정한 형태가 없는 물질을 나타내는 명사로, '공기', '돈' 등이 있다. 물질명사의 경우 보통명사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

 

< a/an + 음료 또는 술 > 은 한 잔, 한 컵, 한 캔, 한 병 따위의 뜻을 나타내기도 하고 종류를 가리키기도 하며, 복수형으로 쓰이기도 한다.

 

"Here you go," Grant said, thrusting a beer into his hand.
( "한 잔 해요," 그의 손에 맥주 한 캔을 집어주며 그랜트가 말했다.

I usually have a Coke with my sandwich.
( 코카콜라 한 잔 또는 한 병 )

"Can I offer you a drink ?" "I'll have a gin and tonic please." 
( "술 한 잔 드릴까요?" "진토닉 한 잔 부탁드립니다." )

 

고유명사의 용법

고유명사는 사람, 사물, 지명 등에 붙은 고유한 명칭을 의미한다. 

 

인명의 경우, 같은 이름이 둘 이상 있을 때는 보통명사와 같이 취급하여 부정관사와 붙일 수 있고, 복수형도 가능하다. ( ~라는 사람 / ~집안 사람 )

 

"You have a Harper here?" he asked. "We have two Harpers. Which one do you want?"
( "여기에 하퍼라는 사람이 있습니까?" 하고 그가 물었다. "하퍼라는 사람이 둘이 있어요. 어떤 하퍼를 찾으십니까?" )

He suspects that the jury will clear her because she is a Kennedy. ( 그는 그녀가 케네디 집안 사람이므로 배심원들이 무죄 평결을 내릴 것라고 생각한다 ) 

 

< a(n) + 잘 알려진 사람 >은 < ~ 집안 사람/ ~와 같은 사람/ ~의 작품 >을 의미한다. 인명 이외의 고유명사도 쓰이며, 복수형도 상용된다.

 

The Montesquieus, Mills, and Madisons invented most of the political forms we still take for granted.
( 몽테스키외, 밀, 메디슨 같은 사람들이 오늘날 우리가 당연시하는 정치형태의 대부분을 만들어냈다 )

I bought a Bronte there for my wife, Chrismas two years ago. 
( 나는 2년 전 거기서 아내의 크리스마스 선물로 브론테 작품 한 권을 샀다 )

I get goose bumps when Mozart is playing. It's because his music is so romantic and surreal.
( 모차르트의 음악을 들으면 소름이 돋는다. 로맨틱하고 환상적이기 때문이다 )

 

간단하게 명사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간단한 것 같으면서도 자세히 들어가면 꽤 어려운 품사이다. 특히 정관사나 부정관사가 붙을 때, 소유격들이 붙을 때 등 의미가 달라지는 경우들이 있기 때문에 개념을 잘 잡아야 작문할 때 오류없는 문장을 만들 수 있고 명확한 해석이 가능하다. 

'외국어 > 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사의 형용사적 용법  (0) 2020.04.16
명사의 격  (0) 2020.04.15
명사를 받는 대명사의 성  (0) 2020.04.15
명사와 수  (0) 2020.04.15
영어공부를 하게 된 계기  (0) 2020.04.14
블로그 이미지

unpractical human

수없이 거듭되는 실패를 양분 삼아 한 걸음씩 나아가자

,